
저는 원래 Gatsby로 블로그를 만들어 직접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https://hislogs.netlify.app/make-gatsby-blog/
Gatsby 테마로 블로그 만들기
평소 공부하며 깨달은 내용과 프로젝트를 하며 겪는 문제와 해결방법을 정리하고 싶어 블로그를 개설하게 됐습니다. 이 블로그는 Gatsby프레임워크로 개발되었으며 zoomkoding-gatsby-blog테마를 기반
hislogs.netlify.app
그러나 여러 한 불편함으로 결국 티스토리로 옮기게 된 이야기를 써보겠습니다.
직접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의 장점 / 단점
- 블로그를 직업 만들어서 운영하면 웹사이트를 개발부터 배포까지 전부 개입하게 되므로 자유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 그러나 티스토리를 쓰면 이런 것들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 마크다운 파일을 올리기만 하면 바로 글로 만들어집니다.
- 티스토리 또한 마크다운을 지원하므로 마크다운으로 작성한 내용도 쉽게 올릴 수 있습니다
- 나만의 개성있는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
- 티스토리 또한 스킨에 대한 자유도가 굉장히 높아서 충분히 개성 있는 블로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수익화를 할 수 있다.
- 티스토리가 수익화 측면에서 더욱 유리합니다.
사실은 3번이 제일 컸습니다. Gatsby로 개발하고 사이트를 직접 운영하는 경험도 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티스토리는 위의 장점을 상위호환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직접 블로그를 배포하기 위한 환경을 설정해야 하는데 좋은 서비스들이 많기는 하지만 초기에 설정해 줄 것이 많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또한 Analytics나 SEO, 메타태그 등을 신경 써줘야 합니다.
Gatsby의 문제입니다만 버전이 너무 자주 바뀌어 라이브러리나 플러그인이 자주 deprecated되기도 하고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고자 하면 버전을 맞추는데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즉 사이트를 안정적인 버전으로 계속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합니다.
또한 사이트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티스토리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10년 뒤에도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반면 제 블로그는 그럴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습니다.
따라서 티스토리로 기존 게시글을 정리하여 옮길 예정이고 이제 꾸준히 블로그를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주제는 주로 다음과 같을 것 같습니다.
- FE, Web분야 위주의 기술 소개/분석
ex) CORS란 무엇인가?
- 프로젝트/개발 경험 소개
ex) Vite 사용기
- 국내외 개발 아티클 번역/리뷰